본문 바로가기

요한계시록2
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20 강) : 재림의 소망과 종말적 신앙관(계시록 최종 강의안) 제 20 강 재림의 소망과 종말적 신앙관 (계 22:6-21) Ⅰ. 도입 본문은 요한계시록 전체의 결론에 해당되면서 서론격인 1장과 여러 면에서 병행관계를 형성합니다. 이런 사실은 ‘속히 될 일을 종들에게 보이시려고’, ‘이 책의 예언의 말씀을 지키는 자들에게 복의 보장’, ‘때의 긴박감’,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9 강) : 새창조의 질서회복과 교회의 영광 제 19 강 새 창조의 질서회복과 교회의 영광 (계 21:1-22:5) Ⅰ. 도입 요한계시록 전체의 편집과정에서 일곱 인(印)재앙과 나팔재앙 및 대접재앙은 종말적 심판현상의 일환으로 상호 반복과 중복과 점진성을 통해 복합적인 구성요소를 가지면서 두 가지 결론을 도출해 냅니다. 그 중 하나가 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8 강) : 용의 멸망과 천년왕국, 그리고 백보좌의 심판 제 18 강 용의 멸망과 천년왕국, 그리고 백보좌의 심판 (계 20:1-15) Ⅰ. 도입 20장은 짐승과 거짓선지자의 멸망(19장)에 이어 악의 세력의 총수인 사단(용)과 그의 추종세력인 짐승의 표를 받은 불신자들의 최후의 멸망사건을 기술합니다. 이 과정에서 성도들이 그리스도와 더불어 왕 노릇한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7 강) : 백마 탄 자의 등장과 짐승의 멸망 제 17 강 백마 탄 자의 등장과 짐승의 멸망 (계 19:1-21) Ⅰ. 도입 19장은 17-18장에 소개된 음녀 바벨론의 심판과 멸망 기사의 연장선상에서 하늘에 속한 승리자들의 찬양(1-5절)과 어린양의 혼인잔치(6-10절), 그리고 본질상 재림하신 예수님을 상징하는 백마 탄 자의 진영과 짐승의 진영과의 종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6 강) : 큰 성 바벨론의 멸망 제 16 강 큰 성 바벨론의 멸망 (계 18:1-24) Ⅰ. 도입 17장과 18장은 계속해서 큰 성 바벨론의 멸망기사를 소개합니다. 17장이 바벨론의 타락상과 죄악상을 상징하과 있는 음녀의 죽음을 통해 큰 성 바벨론의 심판을 예고했다면, 18장은 큰 성 바벨론의 실제적인 심판과 멸망을 구체적으로 기술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5 강) : 음녀 바벨론과 짐승 음녀 바벨론과 짐승 (계 17:1-18) Ⅰ. 도입 17-20장은 악의 세력의 실세들인 용과 두 짐승과 큰 성 바벨론의 멸망을 기술합니다. 이는 16:10-21에서 5-7번째 천사들의 대접재앙으로 사단의 진영인 공중과 큰 성 바벨론이 철저하게 파괴된 사실에 근거합니다. 전자는 후자를 보다 발전시키고 구체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14강) : 일곱 대접재앙 시리즈 일곱 대접 재앙 시리즈 (계 15:1-16:21) Ⅰ. 도입 본문의 일곱 대접 재앙 시리즈를 논하기 전에 일관된 스토리의 전개를 위해 앞에 기술된 12-14장의 삽입환상 군의 내용과 성격을 요약적으로 정리하는 것이 이해에 도움이 될 줄 압니다. 12-14장의 삽입환상 동아리는 용과 짐승으로 상징되는 적.. 더보기
[스크랩] 요한계시록 구속사(제 13 강) : 하늘의 십 사만 사천과 최후의 심판 메시지 제 13 강 하늘의 십사만 사천과 최후의 심판 메시지 (계 14:1-20) Ⅰ. 도입 계 14장은 12장부터 시작되는 삽입환상 군(群)의 마지막 환상부분입니다. 14장은 하나님의 인을 받은 자들과 짐승의 표를 받은 두 진영 간의 상반된 종말적 형편을 상징적으로 묘사합니다. 12-14장까지의 삽입환상 동아.. 더보기